파이썬 기본 문법 중 내가 잊어버릴 수도 있겠다 싶은 아주 기초 내용을 기록해두고자 한다.
1. 거듭제곱
(1) 거듭제곱은**로 나타낸다.
(2) 지수를 표현하는 e
a=1e9
여기서 e는 10의 9승을 표현한 것이다. 따라서, 1000000000.0 가 된다.
(3) math.exp()
x를 인수로 하는 e의 x승 값을 반환합니다. 그리고 e는 오일러 상수로 자연 로그의 밑을 의미한다.
2. 소수자리 수
(1) round(a, 4)
소수 5자리에서 반올림한 a의 값
(2) print("%.5f" % a)
실수 a의 값을 소수 5자리까지 나타내기
3. for반복문 활용
(1) 조건에 맞는 반복문으로 리스트 만들기 (리스트 컴프리헨션)
array = [i * i for i in range(1, 10) ]
1에서 9까지의 수의 제곱값을 포함하는 리스트
+ 2차원 리스트를 초기화할 때는 반드시 리스트 컴프리헨션을 이용해야 한다.
(2) 변수 생략
for _ in range(5)
4. 내장함수
a.append(2)
a.sort()
a.sort(reverse=true)
a.reverse()
a.insert(2,3)
=> 2번째 인덱스에 3 삽입
a.count(2)
a.remove(2)
a = [1,2,3,4,5,5,5]
remove_set = {3,5}
result = [i for i in a if I not in remove_set]
5. 튜플
리스트는 [ ]를 사용하지만 튜플은 ( )을 사용한다. 그리고 튜플에는 대입연산자 = 를 이용한 값 변경이 불가하다.
6. in과 not in
리스트, 문자열, 튜플 등 순차적인 정보를 담는 자료형을 iterable 자료형에 사용가능하다.
7. | 합집합, & 교집합, - 차집합
8. global
함수 바깥에 선언된 변수를 바로 참조하게 된다.
def func():
global a
9. 값 입력받기
(1) 한줄씩 읽어오기
import sys
sys.stdin.readline().rstrip()
(2) 입력된 값을 공백으로 구분해서 숫자타입으로 리스트화 하기
list(map(int,input().split()))
[python] 파이썬에서 지수와 로그 사용하려면? by bskyvision
자연로그 밑 e(무리수 e, 오일러 상수, 네이피어 상수)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ModuleNotFoundError 에러 (0) | 2021.08.17 |
---|---|
[Python] 중요 표준 라이브러리_itertools (0) | 2021.08.17 |
[Python] 크롤링에 대해서 (0) | 2021.08.05 |
- 노개북
- git연동
- ubuntu
- 개발도서
- putty
- intellij
- 기술블로그
- AWS
- 오늘의코딩
- java
- 배포
- LifecycleException
- 정보처리기사
- spring
- 실용주의프로그래머
- SQLD
- gradle build
- 호스팅영역
- EC2
- 독서후기
- gradle
- jdbc
- 정보처리기사 필기
- IT 5분 잡학사전
- 북클럽
- 노마드코더
- filezila
- 정보처리기사 실기
- 웹페이지만들기
- JIRA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